안녕하세요 으뜸한 곰탱이입니다.
오늘은 각 언론사에서 소 바이러스 질병 중 하나인 럼프스킨병이 20일(금) 충남 당진시 소재 한우 농가와 경기도 평택시 소재 젖소 농장에서 의심증상이 발견돼 현재 전국 축산 농가로 확산 중이라는 보도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소 럼피스킨병(Lumpy Skin Diseas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럼피스킨병의 이해 및 원인
우리나라에서 1종 가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세계동물보건기구(WOAH)에서 관리대상 질병으로 분류되어 있는 럼프스킨병은 주로 황소과 동물에게 영향을 미치는 전염병 중 하나입니다.
이 질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며 주로 젖소, 들소, 물소, 버펄로 및 양과 같은 황소과 동물에 영향을 미칩니다
럼프스킨 바이러스(LSDV)에 의해 유발되며, 상대적으로 강력하고 병원성이 있는 바이러스로, 내부장기 결절, 고열과 피부 및 점막에 염증과 덩어리(혹)가 형성되는 특징적인 증상을 유발합니다.
2. 럼프스킨의 전파
럼프스킨 바이러스(LSDV)는 모기와 같은 흡혈 벌레 매개체를 통해 전염됩니다.
전염병은 황소뿐만 아니라 짐승 간에도 전파될 수 있으며 전염된 동물이 마신 물과 사료, 주사기의 재사용 등을 통해 전염되기도 합니다.
3. 럼프스킨의 증상
럼프스킨 바이러스(LSDV) 감염 동물은 고열을 동반하고 주로 피부에 덩어리와 육 덩어리가 형성되는 특징적인 증상을 보입니다.
다른 증상에는 열, 피곤함, 입맛 상실, 건강 상태 저하, 유두 염증 및 젖소에서 젖 분비 감소가 포함됩니다.
4. 럼프스킨의 치료와 예방
럼프스킨 바이러스(LSDV) 감염 농장에서 정확한 역학조사를 통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또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살처분, 정밀검사, 집중소독, 방역지역 10km 이내 백신접종 등 방역에 총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그리고 소를 키우는 농가에서는 농장 주변 및 개인 기구 소독, 살충제 살포, 구충작업, 의심증상 발생 시 가축방역관 신고등 함께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 우리나라에서는 전파되지 않았던 바이러스 질병인 만큼 국가와 소 농가 관계자들이 확산 방지를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 확산 시 소의 폐사, 생산성 감소등 소 사육 업계에 중대한 영향을 주게 되고 수요 부족으로 인한 소 관련 제품들의(고기, 우유 등) 공급가, 소비자가 상승 등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우리 한우 럼프시킨병, 젖소 럼프스킨병 등 바이러스에서 별 탈없이 확산이 되지 않길 바라봅니다.
'건강한 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백뇨)주요 원인과 증상, 치료 및 예방, 정상 수치 범위,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 소변 색깔로 보는 건강과 의심 질환 (57) | 2023.10.30 |
---|---|
(아데노바이러스) 주요 증상, 감염 경로, 유행시기, 예방 및 치료, 검사 방법 (71) | 2023.10.23 |
(아르기닌) 효능, 하루 섭취량, 부작용, 포함된 음식들 (100) | 2023.10.19 |
(맨발 걷기)우리 몸에 미치는 효능, 어싱 효과 그리고 주의할 점 (114) | 2023.10.17 |
(허혈성 대장염)배우 이제훈 긴급수술, 허혈성 대장염 알아보기 (80) | 2023.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