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렛 증후군
(Tourette Syndrome)
뚜렛 증후군은 뇌신경정신질환으로서 다른 말로는 틱장애로 불립니다.
이 증후군은 신경학적인 장애로 인해 자신의 의지와는 다르게 반복적이고 무의도 한 움직임과 소리를 발생시키는 질환입니다.
눈 깜박임, 눈동자 굴리기, 얼굴 코의 씰룩임, 어깨 들썩임, 고개를 갑자기 젖히기, 배 근육에 갑자기 힘주기, 다리 차기 등의 운동틱이 있습니다.
또한 김침 소리, 코를 킁킁거리는 소리, 동물의 울음소리, 욕, 외설증 내뱉기 등 음성 틱이 있습니다.
운동 틱과 음성 틱을 모두 경험하는 경우를 " 뚜렛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주로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발병하며, 일시적 틱 증상은 10~20%, 1년 이상 지속되는 만성 틱장애는 1% 정도 나타납니다.
1. 원인
1) 유전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여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직계 가족 중 틱 있을 확률 약 25% / 일란성쌍둥이 90%)
2) 뇌의 특정 부위에서의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도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감염, 호르몬, 세균 감염 등)
3) 1만 명 중 4~5명 정도에게 나타나며 7세 전후 남성의 경우가 여성보다 3배 정도 흔하게 나타납니다.
2. 증상
1) 갑작스러운 반복적인 운동 또는 발성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조절이 잘 되지 않습니다.
(머리 흔들기, 턱끝 들어 올리기, 재채기, 고함, 비웃음, 욕설, 등)
2) 눈과 얼굴에서 눈 깜박임, 찡그림, 킁킁거리기 등이 나타나 빈다.
4) 보통 운동 틱이 먼저 시작되고 음성 틱이 뒤이어 나타납니다.
3. 진단
뚜렛 증후군의 진단은 주로 증상의 역사와 임상적 관찰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운동과 음성 틱이 동반된 채 1년 이상 지속되면서 약물과 같은 다른 원인에 의해 유발된 틱이 아니라면 진단가능 합니다.
의사가 직접 관찰이 어렵다면 비디오 촬영, 환자와 가족의 설문조사를 통해 증상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4. 치료
1) 무관심
- 아이를 나무라거나 비난, 지적 등의 행동을 피하면서 증상을 무시하고 관심을 주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행동 치료 (CBIT)
- 스스로 억제하는 훈련이나 사회에 받아들여질 수 있는 행동으로 변형하는 훈련을 진행
(예: 동물 울음소리 음성 틱을 기침 소리로 바꾸는 훈련 등)
3) 약물 치료
- 뇌의 기능적, 생화학적인 이상으로 발생되는 만큼 신경 전달물질의 이상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특정 약물을 사용하여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4) 수술 요법
- 아주 심해 일상생활을 할 수 없을 때는 뇌 수술, 뇌심부 자극 요법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5. 주의 사항
1) 뚜렛 증후군은 종종 감정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심리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무시하고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것이며 뇌의 문제인 만큼 고의적으로 만들거나 참을 수도 없는 것이기 때문에 절대 나무라고 비난하거나 놀려서는 안 되며 부모는 벌을 주거나 지적을 해서는 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2) 만성 틱이 있더라도 다른 사람들과 똑같이 성취하고 인정받으며 행복하게 살 수 있다는 긍정적인 마음 가짐으로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3) 아동이 충분한 놀이 시간과 휴식 시간을 부여하고 칭찬으로 자존감을 높여주는 지지를 보내주면서 스트레스를 이겨내게 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6. 장애 인정
뚜렛 증후군은 보건복지부에서 정신 장애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강박장애, 뇌의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한 기질성 정신장애, 스스로 조절하기 힘든 무의식적 반복행동 및 음성 틱 장애, 일상생활 등에 상당한 제약이 있는 기면증 등 모두 정신장애인으로 인정된다고 합니다.
뚜렛 증후군은 환자와 그 가족에게 높은 수준의 이해와 지원을 필요한 질환이며 충분히 극복 가능합니다.
만약 이와 관련된 증상을 경험하고 있다면,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한 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수 비비도 걸린 키스병, 감염성 단핵구증 원인, 증상, 진단, 치료법 등 핵심요약 (78) | 2024.05.03 |
---|---|
골다공증 이해, 원인, 증상, 검사, 치료 방법, 수치, 좋은 음식 등 핵심 요약 (114) | 2024.04.28 |
인후두염 원인, 증상, 진료과, 치료, 약, 좋은 음식 등 핵심요약 알아 보기 (55) | 2024.04.24 |
무지외반증(Hallux valgus) 원인, 증상, 치료, 수술 방법, 교정 등 근골격질환 알아보기 (51) | 2024.04.22 |
주관절 외상과염(테니스엘보) 원인, 증상, 진단, 치료법, 운동법 등 핵심 요약 (52) | 2024.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