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
(Osteoporosis)
오늘은 남성보다 여성들에게 더 많이 발생되는 질병으로서 뼈를 약하게 만드는
골다공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골다공증(Osteoporosis)이란?
- "골다공"이란 말은 뼛속에 구멍이 많이 생긴다는 뜻입니다.
- "골다공증"은 뼈의 밀도와 양이 감소하여 뼈가 약해지고 쉽게 부러지는 질환입니다.
- 이 질환은 사춘기에 성인 골량의 90%가 형성되고 35세부터 줄어들어 50세 전후에 폐경되어 매우 빠른 속도로 줄어들며 특히 고령의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하지만, 남성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골다공증은 초기에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아 '침묵의 질병'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2. 원인
1) 노화
- 나이가 들수록 뼈의 밀도가 자연스럽게 감소합니다.
2) 호르몬 변화
-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기 이후 에스트로겐 수치의 급격한 감소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영양소 부족
- 칼슘과 비타민 D의 부족이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 비타민D는 장에서 칼슘의 섭취를 증가시키고, 체내 신장에서 칼슘을 보존하는 작용을 합니다.
4) 생활 습관
- 흡연, 과도한 음주, 운동 부족 등이 골다공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5) 유전적 요인
- 가족력이 있는 경우 골다공증에 걸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6) 기타
- 우울증, 과음, 약물(항응고제, 이뇨제 등) 등이 칼슘 흡수도를 떨어뜨립니다.
3. 증상
- 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없습니다.
- 뼈가 쉽게 부러지는 경우
(여성의 골절은 주로 손목에서 먼저 발생 경우가 많고 70대 환자들의 경우 고관절 및 척추의 골절이 흔하게 발생)
- 키가 줄어드는 현상
- 등이 굽는 현상
- 심한 통증 등
4. 진단 및 검사
- 골밀도 측정: 가장 흔한 검사 방법으로, 뼈의 밀도를 측정합니다.
- X-ray: 뼈의 손상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혈액 검사: 칼슘과 비타민 D 수치를 확인합니다.
5. 치료
골다공증의 치료법은 골밀도를 증가시키고 뼈의 손실을 줄이는데 초점을 둡니다.
- 약물 치료: 골밀도를 증가시키고 뼈의 손실을 줄이는 약물이 사용되며, 칼슘 제제, 비타민D, 칼시토닌, 에스트로겐, 골흡수억제제(비스포스포네이트), 불화나트륨(NaF), 스트론튬 등이 있습니다.
- 생활 습관 변화: 규칙적인 운동, 금연, 적절한 알코올 섭취, 카페인, 인스턴트식품, 탄산음료, 흰 설탕 등의 가공식품을 피해야 합니다.
- 영양 보충: 칼슘과 비타민 D 보충제를 섭취합니다.
6. 수치
골밀도 검사는 T-score로 표시됩니다.
/ -1.0 이상은 정상
/ -1.0에서 -2.5 사이는 골감소증
/ -2.5 이하는 골다공증으로 분류됩니다.
7. 좋은 음식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 칼슘과 비타민 D를 풍부하게 함유한 음식을 섭취해야 합니다.
-칼슘이 풍부한 우유, 요구르트, 치즈, 두부 등
- 마그네슘과 비타민K가 풍부한 시금치, 케일, 양배추, 콜라비, 브로콜리, 아몬드, 아보카도, 검은콩 등
- 비타민 D가 풍부한 연어, 고등어, 달걀노른자 등
- 칼륨이 풍부한 바나나, 오렌지, 감자, 토마토, 멜론 등
골다공증은 침묵의 위협일 수 있지만, 조기 발견과 적절한 관리를 통해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유지하여 뼈 건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한 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일해(Pertussis) "100일 기침"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예방 접종, 유행 등 핵심 요약 (63) | 2024.05.13 |
---|---|
가수 비비도 걸린 키스병, 감염성 단핵구증 원인, 증상, 진단, 치료법 등 핵심요약 (78) | 2024.05.03 |
뚜렛 증후군(Tourette Syndrome), 틱장애, 이해, 원인, 증상, 종류, 치료방법, 주의 사항 등 핵심요약 알아보기 (66) | 2024.04.26 |
인후두염 원인, 증상, 진료과, 치료, 약, 좋은 음식 등 핵심요약 알아 보기 (55) | 2024.04.24 |
무지외반증(Hallux valgus) 원인, 증상, 치료, 수술 방법, 교정 등 근골격질환 알아보기 (51) | 2024.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