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gether, Heart, Drawing

함께 마음을 그리다!!

건강한 우리

인간관계 스트레스, 정리 등 줄이고 극복하는 훈련에 도움이 되는 방법

곰탱한꼬미🐻 2024. 10. 17. 08:45
728x90
반응형

인간관계 스트레스 이렇게  극복합시다.

출처:사례뉴스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 가장 어렵고 힘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 즉, 인간관계입니다. 
아무리 친한 사이라 해도 서로 간의 가치 충돌과 삶의 방식, 성격, 생각하는 사고방식 등 다양한 부분에서 부딪히게 되고 이로 인한 말도 못 하는 스트레스가 발생되기도 합니다. 
생각해 보세요! 나랑 가깝고 친한 사이에서도 스트레스가 발생되기 마련인데 사적인 사이, 업무적인 사이, 어쩔 수 없이 만날 수밖에 없는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는 얼마나 많은 정신적 스트레스가 발생이 될까요?
그래서 오늘은 이러한 인간관계 스트레스를 조금이나마 극복하고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여러분과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출처:엔구 / 유튜브(휴넷TV)

1. 나의 결정권과 주도권을 가져오고 초점을 나에게 맞추자

하나,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평상시 친하고 잘 아는 지인이 갑자기 100만 원을 빌려 달라는 연락이 왔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빌려주자니 여의 치도 않고 안 빌려 주자니 또 상대방이 힘들어하거나 나에게 실망할까 봐  마음이 쓰이고 이러한 것들 때문에 스트레스가 발생이 되기도 합니다. 이럴 때는 어떻게 하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을까요?
여러분!! 이럴 때에는 내 상황과 여건, 나를 중심으로, 그리고 내 주도권하에 결정을 하면 좋겠습니다.
본인 판단하에 여유 있다 생각하고 백만 원 못 돌려받아도 그 사람과의 인간관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한다면 내 주도권하에 빌려주면 됩니다. 
하지만 내 상황과 내 마음이 빌려주는 것에 대해 조금이라도 부담되고 내 여건도 좋지 않은 상황에서 무리라고 생각된다면 가차 없이  내 기준으로 주도권하에 안 빌려주면 됩니다. 
상대방을 배려하지 말라는 소리가 아닙니다. 상대방 입장과 감정에 이입되지 말자는 겁니다.
돈을 빌려주지 않았을 때 상대방이 나를 생각하는 마음, 불쌍함, 연민 등 신경 쓰지 말고, 나의 주도권을 딱 잡고 나의 중심으로 생각하자는 말입니다.
"빌려주는 것은 내가 결정해"라는 생각으로 상대방에게 주도권을 주지말자는 이야기입니다.  이렇게  본인에게 초점을 맞추는 연습을 한다면 한결 편해질 것입니다. 

반응형

2. 자신의 열등감과 자존감을 높이자

인간관계에서 가장 힘든 것 중 하나가 또 무엇이 있을까요? 상대방과의 비교입니다. 
저 친구는 주변에 친구도 많아, 저 친구는 성격이 좋아, 저 친구는 머리도 좋은 것 같아, 저 친구는 공부도 잘하는 것 같아
오만가지 생각을 하며 나와 비교를 하게 되면서 자신의 열등감과 자존감을 깎아내리기 시작합니다. 
여러분 이것을 알아야 할 것 같아요! 상대방도 똑같이 여러분을 쳐다보고 있다는 것을요! 
상대방도 나의 표정과 행동을 보고 나도 상대방의 표정과 행동을 봅니다.  나 자신이 내 얼굴을 보면서 대화를 하지 않듯이 상대방은 나의 모습을 보면서 대화를 합니다. 나의 표정이 화난 표정이면 상대방은 나를 화만 내는 사람으로만 볼 수도 있다는 것이지요! 나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렇게  서로 상대방만 보기 때문에 서로에 대한 쓸데없는 동경심이 생길 수도 있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나부터 자존감을 높이지 않으면 계속해서 상대방에 대한 열등감에 쌓여 살아야 합니다. 
나부터 자존감이 높다면 상대방을 굳이 비교할 필요도 없게 되고 자연스럽게 열등감도 사라지게 됩니다. 
나부터 돌보고 나부터 소중한 존재라는 것을 인식하면서 지내봅시다.

4. 자신만의 기준을 세우자

사람은 누구나 남을 동경하고 남이 나를 평가한다는 마음으로 살아가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괜스레 상대방이 멋있어 보이고, 완벽해 보여 상대방의 기준을 따라가려고만 합니다. 
그러다 보면 일도 잘 풀리지 않고 상대방을 계속 모방하고 따라가려고만 하다 보니 점점 스트레스가 쌓이게 되는 거죠!
허점이 없어 보이는 완벽주의자들이 존재하기 나름입니다. 한번 생각해 보십시오! 완벽주의자들은 얼마나 힘들고 피곤할까요? 그 완벽함을 유지하려면 그만큼 노력을 해야 하고 상대방에 허점을 감추기 위해 얼마나 뒤에서 노력을 하는지 모르실 겁니다. 
자기 사신만의 기준을 세우세요!
나는 이만하면 충분하다, 이만하면 훌륭하다, 생각하고 내 기준을 세워 그것에 맞게 살아가십시오!
남의 기준으로 살아가면 스트레스만 쌓일 뿐입니다. 

5. 나만의 시간을 갖고 위로해 보자

우리의 인체에 쉼이 없으면 온갖 질병들이 발생될 확률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또한 정신 상태도 쉼을 갖지 못하면 뇌파가 불규칙하게 되고 우울감, 짜증, 스트레스 등 많은 정신적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죠!
인간관계 스트레스에서도 쉼이 필요합니다. 
집에서는 가족들과 직장에서는 동료들, 거래업체, 친한 친구 등등 수많은 인간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이로 인한 스트레스가 발생되면 본인과 잘 어울릴 수 있는 사람들과의 소통 그리고 관계를 통해 스트레스를 푸는 것도 정말 중요합니다. 하지만 한 번쯤은 나만의 시간을 갖고 온전한 쉼을 느껴보는 것도 정말 중요합니다. 
나만의 시간을 갖기 위해 하루에 한 번, 자기 전 단 10분이라도 온전한 나만의 시간을 갖고 본인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며 답을 내는 연습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차 한잔 하면서 "오늘 하루도 수고 많았어, 오늘 잘했어, 오늘 최고였어, 오늘 부족하 것이 뭐였더라? 부족한 건 내일이라도 조금씩 채워 나가자" 등 자신을 위로하고 돌아보면서 자기 자신을 꼭 안아주면 좋겠습니다.  


인간관계 스트레스 완전히 없앨 수는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위에 언급한 부분들로 조금이나마 스트레스에서 해방되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 }